싫어요를 눌러도 영상 알림 알려주는 유튜브의 멍청함

싫어요를 눌러도 영상 알림 알려주는 유튜브의 멍청함

반응형

유튜브 서비스는 정체가 뭘까요? 검색 엔진일까요? 구독 서비스일까요? 콘텐츠의 바다일까요? 여러모로 살펴보면 좀 이상한 면이 있습니다. 먼저 유튜브는 구독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는 구독 서비스다?

구독자가 많을수록 수익도 많고 추천 영상에 올라갈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그래서 많은 유튜버들이 전체 조회수가 아닌 구독자 수로 자랑하고 으스대고 비교하죠. 유튜버들끼리 10만 구독자니 1만 구독자니하면서 자신들의 위치와 역량을 구독자 수에 태웁니다.

저는 유튜버가 아닙니다. 그러나 운영은 하고 있는데 주제가 정해진 채널이 아니고 그냥 좋은 풍경을 동영상으로 주로 담고 있는 정도입니다.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싶은 생각은 가끔 들지만 딱히 뭐 하고 싶은 생각은 안 들어요. 다만 동네 구경 가는 걸 좋아하는데 그런 동네 구경을 오즈모포켓에 담아서 가끔 소개합니다. 그러나 조회수는 아주 낮습니다. 그래도 상관 없습니다. 그냥 기록용으로 담는 목적이니까요.

유튜브로 돈 벌 생각이면 장비부터 갖추고 주제부터 정하고 제대로 했겠죠. 그러나 이 바닥이 워낙 경쟁이 심해서 쉽게 인기를 얻기 쉽지 않다는 걸 알기에 열정적으로 하기는 못하고 있네요.

유튜브는 검색 서비스다?

요즘 네이버가 오들오들 떨고 있는 게 유튜브의 구독 서비스가 아닙니다. 유튜브의 구독자 수가 아닌 유튜브의 검색 서비스입니다. 네이버의 캐시카우는 검색서비스인데 요즘 10~20대를 넘어서 저 같은 중노년 분들도 검색을 네이버가 아닌 유튜브에서 하고 있습니다. 저조차도 요즘은 네이버, 다음이 아닌 유튜브에서 주로 검색을 합니다.

유튜브에서 검색하는 이유는 유튜브의 정보의 질이 무척 높기 때문입니다.

지금 네이버나 다음에서 검색해 보세요. 정보의 양은 유튜브보다 많고 다양성은 더 좋지만 정보의 질은 아주 낮습니다. 그러니 다들 유튜브에서 검색을 하려고 하죠. 이에 네이버는 네이버 인플루언서 제도를 만들어서 양질의 콘텐츠를 만드는 블로거에 양반 블로그라고 모시고 있습니다. 그냥 모시면 모셔지지 않죠.

네이버 인플루언서 블로거에게 검색 노출 상위에 노출해주는 것과 함께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당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방식 어디서 많이 본 것 아닌가요? 맞아요. 유튜브 세계를 참고해서 만든 생태계입니다.

유튜브 영상 정보의 질이 좋은 이유는 높은 수익을 제공하기 때문

유튜브가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건 동영상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에게 높은 수익을 제공했기 때문입니다. 열심히 만들어서 돈 한푼 못 번다면 누가 운영을 하려고 할까요? 취미로? 재미로? 그럴 수 있죠. 그런데 수익이 없으면 지금의 유튜브 영상 50% 이상은 사라졌을 겁니다. 실제로 수익이 많지 않았던 유튜브 초기인 2010년도만 해도 유튜브에 가장 많은 동영상은 영화 드라마 영상 클립과 불법 업로드한 뮤직비디오였습니다. 볼 게 거의 없었고 방송사 콘텐츠 불법으로 올리던 영상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러다 유튜브가 애드센스 광고를 전면 광고, 중간 광고, 하단 배너 광고 등을 통해서 높은 수익을 제공하기 시작하면서 1억을 벌었다느니 10억을 벌었다느니 하는 소리가 들리자 너도나도 유튜브에 뛰어 들었습니다. 지금은 방송인이나 연예인들 배우 등등 조금만 유명한 분들이면 다들 유튜브를 하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성장에 크게 놀란 네이버는 네이버TV에서 높은 수익을 제공하겠다고 꼬셨지만 1년 만에 쫄딱 망해버렸습니다. 지금은 이전처럼 방송사 영상 클립이나 틀어 놓는 서비스로 전락했습니다.

그러나 유튜브도 참 문제가 많다

최근 페이스북 주가가 폭락한 이유가 페이스북 고위 임직원이었던 분이 내부 고발을 했죠. 페이스북은 혐오 발언이나 문제가 있는 동영상이라고 해도 유명인의 동영상이나 글은 방치하고 무명인 사람들의 글은 삭제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자극적으로 폭력적이고 낚시 제목의 글들을 알면서도 좀 더 노출시켜 줬다고 하죠. 왜냐? 그런 자극적이고 폭력적이고 혐오 발언들의 글들이 더 큰 조회수를 올리고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죠.

그런데 그게 어디 페이스북만의 문제일까요?

작년에 본 다큐 중 가장 재미있고 충격적으로 봤던 다큐가 넷플릭스 드라마 <소셜 딜레마>입니다. 이 <소셜 딜레마>는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등의 세계적인 SNS 및 동영상 서비스의 전직 직원들이 나와서 초반에 우리가 괴물을 만들었다면서 울먹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자신들은 세상을 이롭게 할 줄 알고 AI를 만들고 추천 게시물, 추천 영상 알고리즘을 만들었는데 자극적인 영상, 쌍욕 담긴 영상물, 폭력적인 영상 등등 다소 문제가 있는 영상도 조회수가 높고 그래서 수익 많이 낼 수 있기에 마구 내보냈다고 합니다.

물론 그게 유튜브라고 말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이 다큐 영상 말고도 일전에도 유튜브 알고리즘 담당 엔지니어의 내부 고발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었습니다. 다 떠나서 제가 경험한 것을 소개하겠습니다.

1. 채널 차단 기능이 없는 유튜브

먼저 유튜브는 채널 차단 기능이 없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from http://photohistory.tistory.com/19970 by ccl(A) rewrite - 2021-11-12 16:00:03

댓글